switch
2018. 7. 6. 22:06ㆍStudy/C_언어
switch함수
switch(n)에서의 은 switch문으로 전달되는 인자의 정보이다. 이 n 은 정수형 변수이어야 하는데 , 대표적으로는 int 형 변수가 위치하게 된다. 그리고 이 n에 저장된 값에 따라서 실행할 영역이 결정된다.
case 를 쓰고 빠져나올때는 break를 쓴다.
그외의 값은 default를 입력해준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| #include <stdio.h> #include <stdlib.h> int main() { int num1, num2; char op; printf("계산식을 입력하세요 (예, 3 + 5) :"); scanf("%d %c %d", &num1, &op, &num2); switch (op) { case '+': printf("%d %c %d = %d \n",num1, op, num2, num1+num2); break; case '-': printf("%d %c %d = %d \n",num1, op, num2, num1-num2); break; case '/': printf("%d %c %d = %d \n",num1, op, num2, num1/num2); break; case '*': printf("%d %c %d = %d \n",num1, op, num2, num1*num2); break; } return 0; } | cs |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| #include <stdio.h> #include <stdlib.h> int main() { int num; printf("숫자를 입력하시오 :"); scanf("%d", &num); switch(num/10) { case 10: case 9: printf("%d는 a입니다. \n",num); break; case 8: printf("%d는 b입니다. \n",num); break; case 7: printf("%d는 c입니다. \n",num); break; case 6: printf("%d는 d입니다. \n",num); break; default: printf("%d는 f입니다. \n",num); } return 0; } | cs |
'Study > C_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f else 문 (0) | 2018.07.06 |
---|---|
for / while 문 (0) | 2018.07.06 |
printf, scanf (0) | 2018.03.08 |
자료형 (0) | 2018.03.03 |
진수, 비트와 바이트, 정수, 실수 (0) | 2018.03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