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ex_line

2018. 2. 3. 00:00Study/Houdini


alt + E 를 누르면 vex editor 창이 켜진다.


float maxdist = ch("maxdist");

int nearpnts[] = nearpoints(0, @P, maxdist);


foreach (int pnt; nearpnts) {

    

    if(pnt != @ptnum) {

        int line = addprim(0, "polyline");

        addvertex(0, line, @ptnum);

        addvertex(0, line, pnt);

        }

    }

float maxdist = ch("maxdist");

- ch() parameter 창이 생겨 사용자가 조절 할 수 있는 창이 생김

int nearpnts[] = nearpoints(0, @P, maxdist);

- @P 에서 maxdist 값을 이용해 point 를 찾아라

foreach(int pnt; nearpnts) {

}

- nearpnts 에 point 들을 pnt에 대해 반복한다.

if(pnt != @ptnum) {

}

- pnt 가 @ptnum 과 같지 않으면 if 문을 출력하라

int line = addprim(0, "polyline")

- primitive 를 만들어라 poly line 으로

addvertex(0, line, @ptnum)

addvertex(0, line, pnt)



- nearpoints

가장 가까운 포인트들을 찾는다.

int [ ] nearpoints(<geometry>geometry, vector pt, float maxdist)

 

int [ ] nearpoints(<geometry>geometry, vector pt, float maxdist, int maxpts)

 

int [ ] nearpoints(<geometry>geometry, string ptgroup, vector pt, float maxdist)

 

int [ ] nearpoints(<geometry>geometry, string ptgroup, vector pt, float maxdist, int maxpts)

geometry

attribute wangle 에 연결된 node 를 표시 ex) 0

pt

가장 가까운 점을 찾을 공간에서의 위치

maxdist

검색 할 수 있는 최대의 거리

maxpts

검색 할 수 있는 최대 포인트 수

 

 

- foreach

 선택적 열거 형을 사용하여 배열의 항목에 대해 반복한다.

foreach ([element_type] value; array) {

 

}

 

예제

int an_array [] = { 1 , 2 }

foreach ( int num , an_array ) {

printf ( "% d" , num );

}


 - addprim

geoprimitive 를 추가한다.

int addprim(int geohandle, string type)

addprim 혼자 쓸수 없다. vertex를 생성해줘야 primitive가 생긴다.

 int geohandle 의 값은 0, geoself 뿐이다.

 

string type 에는

"poly" , "polyline" "tet" "sphere", "circle", "tube", "metaball","metasquad" "sphere", "circle",

"tube", "metaball","metasquad"

을 쓸수 있다.

 

 

 

- addvertex

geo primitive vertex 를 추가한다.

int addvertex(int geohandle, int prim_num, int point_num)

int geohandle 의 값은 0, geoself 뿐이다.



'Study > Houdin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oly_line  (0) 2018.02.04
VEX  (0) 2018.02.03
pop_sand  (0) 2018.02.01
voronoi  (0) 2018.01.25
reaction_diffusion  (1) 2018.01.24